해커원 사이트에서 유심히 보았던 취약점이다. (https://hackerone.com/reports/263760)
request 헤더에 Accept-Encoding: gzip, deflate, br 를 추가하여 서버에 인코딩 요청을 하면, 캐쉬된 데이터가 포함된 결과를 반환한다. 그러면 캐쉬에 들어가 있던 삭제된 트윗, 공개였다가 현재는 비공개된 트윗을 확인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Original Request:
GET /widgets/timelines/preview?all_results=on&callback=__twttr.callbacks.tl_i<some number>_preview_old&do_not_track=false&expand_media=false&height=350&lang=en&query=countblank&safe_mode=on&suppress_response_codes=true&theme=light&timeline_type=search...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