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2. 29.
*SUID(Set User-ID)와 *SGID(Set Group-ID)가 설정된 파일은(특히, root 소유의 파일인
경우) 특정 명령어를 실행하여 root 권한 획득 및 정상서비스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로컬 공격에 많이 이용되므로 보안상 철저한 관리가 필요함.
root 소유의 SUID 파일의 경우에는 꼭 필요한 파일을 제외하고는 SUID, SGID 속성을
제거해주고, 잘못 설정되어 보안 위협이 되고 있는지 주기적인 진단 및 관리가 요구됨.
*SUID(Set User-ID): 설정된 파일 실행 시, 특정 작업 수행을 위하여...
2016. 12. 28.
1. NetBIOS 프로토콜에 따른 위험성
NetBIOS는 사용자가 따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NetBIOS 는 사용자가 따로이 설정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윈도우즈가 셋팅되면서 관련된 프로토콜들이 열려있기 때문에 보통 사용자들은 그 위험성은 물론 바이러스 전파의 경로가 된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나 실정 이 NetBIOS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열려 있는 자체 만으로도 해커로부터 목록화를 비롯하여 현존하는 전반적인 모든 크래킹의 주요 통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ex,
Win32/Welchia.worm.12800 (원격제어 및 좀비 프로세스를 위한 웜 바이러스)
> RPC DCOM 취약점 이용시 C클래스 대역의 IP를 증가시키며, TCP/135 포트를 향해 공격시도
> 워크스테이션...
2016. 12. 5.
취약점 개요
: NFS 사용 시 허가된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도록 접근제한 설정을 하여야 함. 접근제한 설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비인가자의 root권한 획득이 가능하며, 해당 공유 시스템에 원격으로 마운트하여 중요 파일을 변조하거나 유출할 위험이 있음.
** 공유폴더의 사용권한 관리
폴더나 볼륨과 같은 공유 리소스에 대한 사용 권한은 해당 리소스의 로컬 NTFS 권한 및 공유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다.
SMB(서버 메시지 블록) 프로토콜 : SMB 기반 액세스 제어(Windows 기반 파일 시스템용)는 개별 사용자 및 그룹에 사용 권한을 부여하여 구현된다.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프로토콜 : NFS 기반 액세스 제어(UNIX 기반 파일 시스템용)는...
리눅스 시스템의 배너는 issue.net과 motd 두 가지로 분류된다.
/etc/issue.net : ssh 접속 후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전에 표시되는 메시지.
/etc/motd : ssh 접속 후 패스워드 입력 후 인증이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로그인 했을 경우 표시되는 메시지.
1. "etc/issue.net" 을 통한 설정
- /etc/issue.net 파일에 메세지를 작성하고 저장한다.
-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열고 설정을 변경한다.
Banner /etc/issue.net
- ssh 데몬을 재시작한다.
/etc/rc.d/init.d/sshd restart
2. "/etc/motd"를 통한 설정
- vi /etc/motd 파일 실행 후 수정
...
2016. 11. 30.
2016. 10. 6.
로그인이 필요 없는 계정을 이용해 시스템에 접근하여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악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bin/false 쉘을 부여애 로그인을 금지함
판단 기준
양호 :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계정에 /bin/false(nologin) 쉘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취약 :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계정에 /bin/false(nologin) 쉘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
조치방법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계정에 대해 /bin/false(nologin) 쉘 부여
** bin/false 와 /sbin/nologin 의 차이
/bin/false
: 로긴을 허용하지만 쉘과 ssh 터널 그리고 홈디렉터리를 제공하지 않는다.
주로 메일만 사용가능한 계정을 만들때 사용한다.
예) adduser -M -s /bin/false...
피드 구독하기:
글
(
Atom
)
Popular Posts
-
/* PHP Version URL CMD WebShell */ /* 사용법 : hxxp://URL/cmd.php?cmd=명령어 */ <? echo " <FORM ACTIO...
-
프록시 도구를 이용하여 서버에 OPTIONS 메소드를 전달하면 지원하는 메소드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런데 간혹 버프 OPTIONS 메소드로는 확인되지 않는데 response 헤더값에 allowed method 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보...
Recent Posts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