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0. 1.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 점검

자료를 검색하던 중 정말 괜찮은 기사를 발견하게 되었다.지금부터 내가 적는 내용은 기사의 내용을 정리한 내용임을 미리 밝혀둔다.시스템 보안이라고 하면, 방화벽, 네트워크 설정, 서비스 관리, 사용자 정책 등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드물지만 루트킷 점검과 같은 수동적 방어에 대해서도 고려하게 된다.그러나 보안을 정말 중요시하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있어서 정말 중요한 것은 '파일시스템 무결성 점검' 이다.이 무결성 점검은 파일시스템의 상태추적, 그리고 허가를 받지 않은 변경사항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수상한 변화가 감지되면 침입자에 의한 것인지 검사한후 피해복구를 해야 한다.리눅스나 유닉스 환경에서 가장 잘 알려진 파일시스템 무결성 점검 도구는 트립와이어 (tripwire)트립와이어의...

Continue reading

2015. 8. 5.

ISO 심사원의 뇌 구조

웹 서핑 중 재미있는 글을 발견했습니다.ISO 심사원의 뇌 구조를 확인하고 각각에 따른 심사 응대 방식을 설명하는 글입니다.인증 심사에서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만약 심사위원이 무슨생각을 하는지 이해한다면, 스트레스를 조금더 받지 않을까?"심사위원의 뇌는 아래와 같이 8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KNOWLEDGEQUESTANNOYANCEHAPPYNESSEXPECTATIONSPROHIBITEDAUTHORIZATIONKNOWLEDGEKnowlege - 심사원이 어떤 스탠다드에 능한가?Fact심사위원은 오직 한개의 스탠다드로 심사를 할...

Continue reading

2015. 4. 20.

백업 주기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백업주기를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실제로 전산담당자에게 이와 같은 질문을 하면, "보안책임자의 의지에 따라" 혹은 "특별한 이유가 없이.." 와 같은 많은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백업주기는 이렇게 추상적인 개념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백업은 전산적인 측면에서 봤을때 반드시 수행해야 할, 그리고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백업의 주기는 반드시 정확한 분석으로 정해져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해당 데이터의 비즈니스 측면의 가치에 기반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백업 주기를 정하는 계산법은 무엇일까요?우선 그전에 아래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복구 지점 목표 ( RPO ; Recovery...

Continue reading

2015. 4. 16.

현대인의 삶의 일부가 된 '암호화'

현재 시대를 디지털 유니버스(Digital Universe)라고 부른다고 한다. 스마트폰의 발전과 함께 기하급수적인 양의 정보가 생성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약 4.4조 기가바이트의 정보가 생성되었고 지금까지도 Facebook, Twitter, Instagram, Youtube 등에서 데일리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참고 사이트> 여기서 우리가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될 사항이 바로 ‘암호학’이다. (참고 : 암호학의 현재와 미래) 데이터를 암호화를 하지 않는다는것은, 기밀 데이터를 아무런 보호대책없이 모든 사람들이 볼수 있는 공유폴더에 올려놓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왜?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는 누구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너무 비약이 심하다고 할수도 있겠다....

Continue reading

Popular Posts

Recent Posts

Powered by Blogger.